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초고령사회, 성큼 다가섰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발표

기사승인 2022.06.29  13:44:00

공유
default_news_ad2

- -2020년~2050년까지의 가구 및 연령 변화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0~2050년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1인 가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노인 중심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한국의 총가구는 2020년 2,073만 가구에 평균 가구원수는 2.37명이며, 2039년 2,387만 가구를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며 2050년에는 2,284만 9천가구에 평균 가구원수는 1.91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표1]가구증가율 및 평균가구원수(2000년~2050년)
한국의 생활형태는 이미 1인 가구 중심이다. 2020년 전체 가구의 31.2%가 혼자 살고 부부가구는 16.8%이다. 하지만 30년 후인 2050년에는 혼자사는 가구가 39.6%로 늘어나고 부부가구는 23.3%로 늘어난다. 대신 부부가 자녀와 함께 사는, 이른바 핵가족은 29.3%에서 17.1%로 줄어든다. 전체 가구의 3분의 2가 홀로 또는 부부 둘이 산다는 얘기다.
[표2]유형별가구수
2050년까지 고령가구주는 2020년 464만가구로 전체 가구의 22.4%이지만 2050년에는 1,137만5천가구로 전체의 49.8%로 2.5배가 증가할 전망이다.  다섯 집 중 두 집은 독거노인가구인 셈이다. 자녀가 성장 후 독립해서라면 좋겠지만 실상은 이혼이나 사별의 결과다. 아예 결혼을 하지 않거나 아이를 낳지 않는 것도 중요한 원인임은 물론이다.
[표3]1인가구 규모 및 연령별구성비(2020년~2050년)
30년 후의 일이라고 쉽게 넘겨서는 안 될 일이다.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가히 역사적이다.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7% 이상일 경우 ‘고령화 사회’로 본다. 우린 새 밀레니엄에 들어서며 고령화 사회를 맞았다. 22년 전이다. 노인 비중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인데 그건 2017년이다. 
 
그로부터 8년째인 2025년 우린 ‘초고령화 사회(노인 비중 20% 이상)’에 들어선다. 앞으로 불과 3년 후다.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다 보니 벌써 전국 지자체의 절반 가까이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물론 빠른 고령화 속도를 나쁘게만 볼 수는 없다. 높아진 생활수준과 좋아진 의료기술의 덕분인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사회안전망이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나타나는 게 경제적 빈곤이고 심리적 고독이다. 그 파장의 확장성은 코로나19보다 결코 작지 않다.
 
초고령사회에 맞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실질적인 정책으로 반영되는 것은 극소수이다.  정부나 지자체의 예산도 늘려야하지만 주요 기업들이 초고령사회에 맞는 일자리창출이나 고령자들을 위한 다양한 복지정책을 같이 고민해야 한다.
 
 

silverinews 김선혜 news1@silverinews.com

<저작권자 © 실버아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